본문 바로가기

제작교재/(여화) 플랫 펌프스

[여화 플랫 펌프스 6 - 패턴] 테스트용 제갑 제작 및 디자인 패턴 완성(성수동 수제화)

 

 

본 교재에 사용되는 라스트는 235mm 여성용 라스트입니다.  남화의 경우에는 수치가 완전히 변경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테스트용 패턴을 합성피혁(이하 합피로 칭함)에 대고 중요지점 등을 꼼꼼히 그려준다.

현장에선 종이제갑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라스팅(골 씌움)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합피를 이용하는 것이 더 쉬울 것이다.

 

 


테스트용 패턴은 골밥 부분이 적용되어 있지 않으니 골방이 될 부분 20mm를 살려야 하므로 디바이더로 길이를 맞춘다.

페더엣지 라인에서 디바이더로 표시해준다.

 

 

 

 

디바이더로 표시된 부분을 볼펜으로 그려준다.

 

 

 


표시된 가장자리를 칼로 잘라준다.

 

 

 


합피의 힐커브 두 부분의 안쪽을 잘 포개어 맞춘다.

 

 

 


힐커브 가장자리에서 1mm 가량 띄운 후에 곡선에 맞춰서 재봉(미싱)한다.

 

 

 


끝부분은 왕복(도매) 재봉으로 튼튼하게 해준다.

 

 


쪽가위로 잔 실 처리로 깔끔하게 정리해준다.

 

 

각 중요 지점들은 펀칭(3mm)로 뚫어준다.

 


라스팅(골 씌움)을 시작한다.

억지로 합피를 잡아 늘리지 않고 적당한 힘으로 라스팅을 했을 시에 센터 라인과 각 중요 지점들이 구두골에 그려진 스케치와 잘 맞다면 패턴은 잘 맞는 것이다.


 

 

바깥쪽 페더엣지 라인도 잘 맞아야만 한다.

 

 


중요 지점이 정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C점이 잘 맞다면 발등 부분과 앵클 부위의 탑라인이 잘 맞을 확률이 높다.


 

 

V점이 잘 맞으면 센터라인이 잘 맞고 발등이 잘 붙을 확률이 높다.

 

 

CF점의 경우는 그냥 정확히 맞아야한다.

 


전방부분이 잘맞고 힐커브 센터라인이 잘맞다면 최소 바깥부분의 패턴은 잘 나온 것이다.

만약 안쪽의 탑라인(아구 부분)의 유격이 다소 많이 생긴다면 구두골의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이때 단순히 탑라인의 길이를 줄여서 수정을 하려하면 오히려 센터라인이 모두 틀어져 버리므로 주의해야한다.

 

 

안쪽 부분의 페더엣지 라인을 그려준다.

이때 다른 손으로 골밥을 잡아주면 합피가 팽팽해져서 각이 쉽게 보인다.

 

 

 


구두골에서 테스트용 패턴을 떼어내서 펼친다.

 

 

테스트용 패턴이 들어갈 정도의 켄트지를 절반 접어서 준비한다.

 

 

우선 테스트용 패턴을 잘 그려준다.

 

 

페더엣지 라인이 송곳을 찔러서 표시한 후에 그림 위에 정확히 올려준다.

 

 

 

 

안쪽의 수정된 페더엣지 라인을 송곳으로 표시해준다.

 

 

안쪽의 수정된 페더엣지 라인이 보인다.

 


이 디자인의 경우엔 허리쇠와 보강 아대가 없는 중창을 쓸 것이므로 전체 20mm의 골밥을 디바이더로 표시해준다.

 


디바이더 자국을 보다 선명하게 샤프로 그려준다.

 


가장자리를 칼로 잘라낸다.

 

 

안쪽 표시를 골밥 라인에 삼각형으로 잘라서 표시해 준다.

 


구두골 이름과 제작된 날자, 작성한 사람의 이름 등을 적어주면 최종적으로 '디자인 패턴'의 완성이다.